다양한 콘텐츠의 범람 “똑똑한 수용자 길러내야” ...

다양한 콘텐츠의 범람 “똑똑한 수용자 길러내야”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수용자 보호 제도의 개선 필요

904

7930_9747_4639[1]

[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멀티 플랫폼 시대를 맞아 다양한 콘텐츠의 범람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런 때일수록 똑똑한 수용자를 만들어내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는 3월 11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멀티 플랫폼 시대의 미디어 콘텐츠 다양성과 수용자’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박주연 한국외대 교수는 “예전에는 직접 수신 등 수용자에 대한 복지가 중요했지만, 이제는 다매체 시대에 고품질 콘텐츠를 골라낼 수 있는 똑똑한 수용자를 길러내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콘텐츠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저품질 콘텐츠도 늘고 있으며, 플랫폼 다양화로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쉬워지면서 수용자를 저해 콘텐츠로부터 보호하기는 어려워진 것이다.

특히, 박 교수는 청소년 보호 시간대 등 시간대를 나눠 수용자를 보호하는 시스템을 언급하며 “실시간 콘텐츠 기반의 보호 정책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본방송 시간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다시보기’ 등으로 원하는 시간에 콘텐츠를 즐기는 행태 변화에 따라 수용자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박 교수는 “콘텐츠에 비용을 점점 더 많이 지불해야 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예측했다. 앞으로는 돈이 있으면 콘텐츠를 즐기고 돈이 없으면 콘텐츠를 즐길 수 없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따라서 “가격 측면에서도 수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앞으로 많이 논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플랫폼의 변화만큼 콘텐츠를 즐기는 수용자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김해원 이화여대 교수는 수용자들이 콘텐츠를 시청할 때 TV를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나누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는 등 멀티 태스킹을 하는 시청 행태에 대해 “수용자들은 시간 이용을 통제하며 보여주는 것을 그대로 따라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MCN도 언급됐다. 장병희 성균관대 교수는 “MCN의 미래를 바라보는 긍정적·부정적 두 가지 시각이 있다”고 설명하며 “UCC가 질 높은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해 기세가 꺾인 것처럼 MCN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전망이 있지만 MCN은 대자본과 결합하고 있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하나의 굉장한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새로운 미디어 사업으로서 MCN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편, 콘텐츠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른 의견을 주장했다. 배진아 공주대 교수는 “콘텐츠 자체는 다양해졌지만, 지금까지 우리 언론은 유사한 이념을 가지고 있어 언론의 다양성이 내용 다양성으로 가고 있지는 않다”며 콘텐츠 다양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강재원 동국대 교수는 “전파 희소성이 강할 때는 독과점이 콘텐츠의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니다”라고 반박하며 “최근 유료방송시장만 보면 플랫폼은 과점시장으로 변모할 것이지만 일정 정도의 경쟁이 일어나며 다양한 콘텐츠에 수요·공급이 이뤄지며 다양성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