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백선하)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700MHz 대역 주파수 할당 없이 기존 주파수를 효율화해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을 할 수 있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고 발언했다. 700MHz 대역 주파수와 지상파 UHD 방송에 대한 최근 발언과 미묘한 온도차가 감지되고 있어 발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 위원장은 19일 오전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초청으로 진행된 한국IT리더스포럼 8월 조찬 강연에서 “한정된 국가 자원인 주파수를 가장 바람직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기술 발전에 따라 많은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UHD 방송이 가능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지상파 방송사가 기존 주파수를 내놓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의 이 같은 태도는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내놓은 발언과 상충된다.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최 위원장은 “700MHz 대역 주파수를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 구축에 우선 배정하는 것에는 이견이 없지만, 구 방통위에서 이동통신용으로 배정한 40MHz 폭은 원점에서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한정된 주파수 자원의 용도를 공익적 관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앞서 인사청문회 당시 최 위원장이 지상파 UHD 방송 상용화에 힘을 실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만큼 관련 업계에서는 방통위가 700MHz 대역 주파수 중 일부를 지상파 UHD 방송에 할당해 공익성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 아닌가 하는 분석이 제기됐다.
하지만 불과 며칠 지나지 않아 최 위원장의 입장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당장 이날 최 위원장은 지난달 발언에 대한 부연 설명을 내놓았다. 최 위원장은 지난달 28일 발언에 대해 “700MHz 대역 주파수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하자는 의견을 말한 것이 아니라 주파수가 중요한 국가 자산이니 어느 분야에서 쓰는 것이 바람직한지 논의하자는 뜻이었다”며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를 예상에서 어느 주파수가 어디에 배분되길 희망한다는 뜻에서 말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의 발언 이후 미래창조과학부와 방통위가 구성한 UHD 정책협의회에서 미래부와 방통위 간 어떠한 논의가 오고 갔는지에 관련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 위원장의 발언 하루 전인 18일 오후 2시에 이기주 방통위 상임위원을 중심으로 UHD 정책협의회가 열렸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700MHz 주파수의 용도를 결정키로 한 차관급 정책협의회인 만큼 정책적으로 많은 논의가 오고 갔을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달 최 위원장의 발언을 두고 미래부에서 우회적으로 반대의 뜻을 표시한 만큼 정책적으로 어느 정도 합의의 선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최 위원장은 지상파 MMS에 대해서는 단계적 도입 의지를 내비쳤다. 최 위원장은 “EBS에서 광고 없이 MMS를 진행한 후 찬반 입장을 검토해 다른 지상파로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