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경북과 경남을 휩쓴 역대 최악의 ‘괴물 산불’이 잡혔지만 부실한 재난방송을 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재난주관방송사인 KBS가 산불이 계속 진행 중임에도 ‘6시 내고향’을 방송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지역방송협의회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에 있어 서울과 지역 간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지역방송이 재난방송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제도 개선과 지속 가능한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KBS 시청자센터 누리집에는 3월 25일 ‘공영방송 KBS는 의무를 다하기를 바랍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게시자는 “지방은 산불로 타고 있는데 KBS는 채널이 두 개면서 한 채널은 ‘생생정보’를, 다른 쪽은 ‘6시 내고향’을 방영했다”며 “공공의 복지를 위한 공영방송이 지방 재난을 보도하는 건 의무”라고 꼬집었다.
이후 지역방송협의회는 4월 11일 성명을 통해 “지역방송은 지난해 2월 지역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복수의 재난방송 주관사 지정과 지역방송의 재난방송 편성 독립성 및 비용 보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요청했으나 1년이 지난 현재까지 실질적인 제도 개선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지역방송협의회는 “최근 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 사태 당시 재난주관방송사인 KBS는 일부 정규 프로그램을 그대로 편성해 재난방송의 시급성과 공적 책임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며 “중앙 중심의 재난방송은 지역의 재난을 신속하게 보도하지 못할 수 있지만 지역민방과 지역 MBC는 지역 재난과 가까운 방송국으로 재난 지역에 대한 신속한 보도가 가능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방송은 중앙에서 하지 못하는 방송을 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라며 “지역방송이 재난방송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LTE 중계 장비, 헬리캠, 특수 촬영 장비 등 장비 지원 확대 △인력 운영 및 제작 비용을 포함한 실질적인 재정 지원 방안 마련 △재난방송 관련 제도를 규제 중심에서 지원 중심으로 전환해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특별법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