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 허용 여부를 조율하고 있다. 이에 방통위 방송광고정책과는 지난달 중간광고 외부용역을 주고 검토를 시작했으며 늦어도 연내에는 관련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에 추진될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는 전면 허용보다 부분적 허용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여러 이해단체의 입장을 조율해야 한다는 전제로 방통위가 조심스러운 접근을 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도 상당한 만큼, 방통위는 최대한 신중하게 해당 사안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에 대한 논의는 몇 해전부터 지상파 방송사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지난 9월 2일 방송의 날 축하연에서 우원길 한국방송협회장은 박근혜 대통령과 이경재 방통위 위원장에게 지상파 방송광고 시장이 어려우니 유료방송 시장과 차별화된 방송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요청을 한 바 있다. 사실상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을 요청한 셈이다.
동시에 이경재 방통위 위원장도 제37차 전체회의에서 광고시장 활성화를 위해 방송광고 문제점을 파악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서 내년부터 시행해야 한다며 “법 제도와 개정 사항, 시행령을 고칠 필요가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한 적도 있다.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에 대한 호불호는 명확한 편이다. 우선 찬성하는 쪽은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수익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들며 재원 안정성을 위해 중간광고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최근 광고시장은 인터넷 광고로의 무게쏠림이 본격화 되면서 상대적으로 방송 광고 시장이 위축되는 분위기다. 제일기획 자료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비는 국내 인터넷 광고비 1조 9,540억 원에 못미치는 1조 9,307억 수준이다. 그런 이유로 해외 사례를 봐도 지상파의 중간광고를 허용하지 않는 나라는 대한민국 외에는 없으니 지금이라도 재정 안정성을 위해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물론 반대하는 쪽은 지상파 방송사에 중간광고가 허용되면 다른 유료방송 광고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예능 프로그램에 국한된 중간광고는 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