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상대적으로 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은 집행 광고비가 최대 24% 감소한 반면 종합편성채널로 선정된 조선?중앙?동아?매경에 1,000억 원에 달하는 정부 광고가 집행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국회 문방위 소속 전병헌 민주당 의원이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05년~2011년 8월까지의 광고발주 현황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전국 21개 일간 및 석간, 경제지 중 종편 사업자 4개 신문이 전체광고비의 40%를 독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현재 정부 부처의 종편사업자 신문에 대한 광고 집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동아일보의 경우 2009년 4억 원, 2010년 6억 9천만 원으로 광고비가 72.5%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정부의 특혜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는 현재, 종편이 12월 본격적으로 개국을 하면 이 같은 ‘광고 몰아주기’가 더욱 노골적이 될 것이라는 것에 있다.
여기에 광고주협회가 건국대학교 박현수 교수에게 의뢰한 설문조사 결과 종편 개국 시 전국의 신문 및 지역 언론 광고 수익이 34%정도 줄어들 것이라는 보고 내용까지 알려지면서 미디어 생태계 자체가 위험해지고 있다는 주장도 힘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