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경찰 조사에 앞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유치장에서 지내보니 경찰이 권력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밝혔다.
이 전 위원장은 10월 27일 3차 조사에 응하기 위해 서울영등포경찰서에 출석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날 취재진에게 “지금 경찰을 보면 언제든 나를 잡아가둘 수 있겠다는 생각에 공포를 느낀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전 위원장은 자신의 혐의에 대해서도 “지난 3월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최상목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은 것을 두고 비판하며 ‘직무유기 현행범’이라고 했다”면서 “그런 논리라면 다수당인 민주당이 수십 개월 동안 방통위 상임위원을 임명하지 않은 것 또한 직무유기 현행범이라는 논리로 말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게 정치 중립 위반이고 선거운동이냐”며 “이건 문해력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정례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이 전 위원장 체포가 불법적이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적법성이 의심되는 상황은 아니다”라면서 “6회의 출석 요구에 불응해서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신청한 체포 영장을 검찰이 청구하고 법원이 발부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통상적으로 3회 이상 불응하면 체포 영장을 신청하는 것이 경찰 수사 루틴”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