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위성과 소출력 중계기를 활용한 난시청 해소 전략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사와 미래창조과학부는 무궁화 위성 3호와 5호를 이용해 지상파 난시청 해소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고 천명하는 한편, 이를 소출력 중계기와 연계해 더욱 실효성있는 보편적 시청권 확립 로드맵을 세우기로 의견을 모았다. 동시에 많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노력이 지형적 요인으로 난시청 가구가 된 이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700MHz 대역 방송용 필수 주파수의 확보와 더불어 공공의 미디어 인프라 확충에 커다란 전기가 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로드맵은 이렇다. KBS, MBC를 비롯한 지상파 방송사가 전파를 송출하면, 그 전파를 무궁화 위성이 받아 난시청 지역에 설치된 소출력 중계기에 재송출하는 것이다. 그러면 소출력 중계기는 자신들이 받은 위성 신호를 방송용으로 변환시켜 한 대당 150~500여 가구에 방송을 보낸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SBS가 해당되지 않는 것인데, 이는 방송 권역별 문제때문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2014년까지 난시청 지역 곳곳에 소출력 중계기 240여 대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법률상으로도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방송의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무궁화 위성을 사용해 난시청 해소를 가능케 하는 조항도 새로 넣을 방침이다. 또 소출력 중계기를 설치하기 위한 토지 수용에 관한 법률도 동시에 논의한다는 복안이다.
당장 구체적인 계획도 나왔다. 미래부는 최근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함께 KBS 및 `디지털시청100%재단`과 더불어 수신 환경 개선과 난시청 해소 협약을 맺은 것을 바탕으로 소출력 중계기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기 때문이다. 해당 사업비는 디지털시청100%재단이 102억 원, 미래부가 4억 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지상파와 미래부의 ‘위성을 활용한 난시청 해소 로드맵’을 두고 유료 방송 업계, 특히 위성방송 사업자인 KT 스카이라이프는 잔뜩 긴장하는 눈치다. 이유는 간단하다. 해당 로드맵이 실현되면 난시청 지역에 집중된 자사 가입자가 대거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KT 스카이라이프 내부에서는 ‘방송사가 위성을 방송 중계 링크용으로 활용하는 것은 법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