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5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서울 광화문에서 경기도 과천으로 청사를 옮긴 이후 첫 전체회의를 열었다. 이에 회의에 참석한 이계철 위원장과 상임위원들은 지난 5년간 방통융합을 담당하는 방통위의 역사를 돌아보고 미흡했던 부분을 보완하는 한편, 더욱 강력한 행정기구로서의 역할을 다짐했다.
![]() |
||
특히 이번 전체회의는 방통위가 과천 청사로 옮겨온 직후 처음 열린 회의지만, 이미 사임을 표명한 이계철 위원장에게는 마지막 회의다. 동시에 이 위원장은 “시원섭섭하다”는 말로 운을 뗀 후 “모두들 수고가 많았다”는 다소 평범한 말로 소회를 밝혔다.
동시에 여당 측 상임위원인 홍성규 위원은 방송정책의 대부분이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된 사실을 의식한 듯 “두 부처가 실무적·정치적으로 소통할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김대희 의원도 “두 부처가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하지만 지난 5년간의 방통위 및 향후 조직의 미래에 대해 상대적으로 무난한 평가를 내린 여당 측 위원들과 달리, 야당 측 상임위원인 김충식 위원은 “지난 방통위 5년간 아쉬운 점이 남은 배경에는 방송과 통신의 출발점이 다르다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는 말로 포문을 열었다.
동시에 김 위원은 종합편성채널 개국을 예로 들며 “방통위가 지나치게 과도한 정치적인 문제를 맡아 말을 만든 부분은 자성해야 한다”고 평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양문석 상임위원도 “들썩거리는 보조금 문제에 통신 3사 주요 간부에게 전화를 해 위반 즉시 시장조사에 들어간다고 말했다"며 "’설마’라며 넘어가기 전에 실질적으로 방통위가 가이드라인을 넘어서는 즉시, 시장조사에 들어가 단호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