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7일과 8일 양일간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와 한국방송협회, 미래방송연구회가 주최하고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와 미래방송연구회가 주관하며 DTV KOREA가 후원하는 [2012 가을 디지털 방송 컨퍼런스]가 서울 목동 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컨퍼런스는 최동환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회장의 개회사로 시작되었다. 최 회장은 “방송 기술인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컨퍼런스가 열린 만큼, 오늘 이 자리가 지상파 방송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자리가 되길 염원한다”며 “7일과 8일, 양일간 열리는 이번 컨퍼런스가 지상파 방송의 현재를 냉정하게 평가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더 나아가 “지상파의 미래가 방송 기술인들의 손에 달려있다고 자부하고,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가 평소에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지상파 방송 전체 구성원에 대한 자성을 촉구했다.
이어 KeyNote로 컨퍼런스에 참여한 양문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직접수신율 10%라는 수치는 지상파 방송의 본질적 의미를 훼손시키고 있다”고 꼬집은 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재 지상파 방송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은 부끄러워해야 하며 동시에 경영진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 방안을 강하게 주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년 동안 지상파 방송의 미디어 공공성을 구현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로 인식되는 700MHz 대역 주파수 문제에 대해서도 양 위원은 격한 어조로 “해당 주파수가 모두 통신에 할당된다면 지상파 방송사는 더욱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며 경고했다. 양 위원은 “해당 주파수를 가지고 지상파 방송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정책 로드맵을 구성할 것인지 치열한 고민을 해야 한다”며 “700MHz 대역 주파수가 통신에 넘어가면 미디어 공공성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역전의 기회는 찾아오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마지막으로 양 위원은 “단순한 말은 의미가 없으며, 오직 정책으로 대변되지 않으면 지상파의 미래는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해당 주파수의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지상파 방송사 할당을 위해 치열하게 국회 및 정부와 싸워야 한다”고 열변을 토했다.
7일 컨퍼런스는 ‘스마트 미디어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의를 시작한 김지현 KAIST 경영대학원 교수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UHDTV 서비스 현황 및 전망’을 강의한 김병선 KBS 기술연구소 차장과 ‘차세대 방송 기술 현황-3D & UHD 방송’의 이상진 SBS 기술기획팀 박사의 순으로 이어졌다. 또 ‘방송 시청형태 변화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한 이상운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교수에 이어 ‘전통적인 라디오는 사라지는가?’를 강의한 송해룡 성균관대학교 교수 순서로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미디어 워크플로우 통합을 위한 시스템 구성’이라는 주제로 박진우 DDN 코리아 차장의 강연이 이어졌다.
8일 컨퍼런스는 ‘콘텐츠 한 잔 하실까요?’라는 주제로 서진수 EBS 뉴미디어기획부 과장의 강연을 시작으로 ‘차세대 방송-LTE 기반 원격 네트워크 제작 시스템 구현’을 강의한 김찬석 한국 아비드 이사의 순으로 강연이 이어졌다. 또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구축’의 김형철 MBC 기술연구소 사원, ‘지상파 직접수신환경 개선과 서비스 강화’의 신진규 DTV KOREA 교육사업팀장, ‘디지털 전환 이후 남은 과제들’의 김칠성 KBS 기술전략국장의 순서로 강연이 이어졌다.
그리고 본 컨퍼런스의 하이라이트이자 대미를 장식한 ‘디지털 전환 긴급진단 토론회-누구를 위한 아날로그 방송 종료인가?’는 강상현 연세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의 사회로 김광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송상훈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 정책 과장, 김동준 공공미디어연구소 부소장, 신진규 DTV KOREA 교육사업팀장, 이창형 KBS TV 송출부장, 강혜란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정책위원이 참여했다.
[2012 가을 디지털 방송 컨퍼런스]는 2006년 처음 시작해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한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방송 기술 학술 세미나’로 자리매김 했으며 특히 올해 열린 2012 컨퍼런스의 경우 방송 정책 및 기술 현황에 대한 다양한 분석 및 전망과 더불어,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참관객들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