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UHD 본방송 5년…정책의 획기적 전환 이뤄져야 ...

지상파 UHD 본방송 5년…정책의 획기적 전환 이뤄져야
“UHD 편성비율 기준 없애야”, “지역방송사에 대한 투자·지원 필요”

979

[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세계 최초 지상파 UHD 본방송을 시작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직접 수신으로 지상파 UHD 방송을 시청하는 가구는 1%도 안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정책 전반의 획기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정필모 의원은 ‘지상파 UHD 본방송 5년 평가와 제도 개선’ 정책 토론회를 9월 28일 오후 2시 국회 박물관에서 개최했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이대로 가다가는 지상파사업자는 플랫폼사업자의 지위를 잃고 콘텐츠제공사업자로 전락할 수도 있다”며 “방송사와 이용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도록 UHD 방송 정책의 획기적 전환과 그 실행을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진 첫 번째 발제에서 고우종 UHD KOREA 사무총장은 지상파 UHD 방송의 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지상파 UHD 방송을 시청하는 가구는 UHD 보급률, 직접 수신 가구 비율, UHD 커버리지 등으로 추산한 결과 약 1%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사무총장은 시청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UHD에 대한 국민 관심도가 정체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다채널 방송, 모바일 방송 등 시청자의 관심이 높은 부가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심영섭 경희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는 현재 정부 로드맵대로 진행하고 있는 도달률 확대 정책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심 교수는 “UHD 도달률 확대만으로 이용률이 대폭 증대하리라 기대하기는 힘들다”며 도달률을 확대하는 데 집중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이용률을 증대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심 교수는 “CJ ENM이나 종편, OTT 사업자의 UHD 참여 의사가 저조해 제한적인 참여 시장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이유는 결국 UHD 방송을 통해 추가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에 있다고 말했다.

또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부, 방송사, 가전사 등 관련자 간 유기적 협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독일의 독립TV플랫폼협회의 사례를 들었다. 독일TV플랫폼협회는 방송사, 가전사, 정부 기관, 방송 및 미디어 관련 협회, 연구 기관, OTT, 네트워크사업자 등 50여 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 업무를 주도하는 등 30여 년간 방송 기술표준 제정, 정책 개발 등을 이끌어 왔다.

이어 진행한 토론에서는 UHD 편성비율 기준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삼모 SBS 부장은 “UHD 편성비율은 과거 디지털 전환 당시 HD 편성비율 규제를 그대로 가지고 온 방식”이라고 설명하면서 “다만 문제는 HD 편성비율 규제의 경우 그 자체가 방송사의 시스템 변화, 장비 교체 현황 등을 보여주는 지표로 작용했지만 UHD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UHD 전환 기간이 이 초기 계획보다 길어지면서 발생하는 방송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전환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곧 HD 방송과 UHD 방송을 동시에 방송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이로 인한 비용 및 인력 투자도 길어지고 있는 것이다.

방송 장비의 수명도 문제다. 보통 방송 장비의 수명은 10년 정도로, 디지털 전환 당시부터 사용한 HD 방송 장비의 수명이 다하는 시점이 도래한 것이다. UHD 전환이 늦어지는 상황에서 수명이 다한 장비를 계속 사용할 수도, 얼마나 더 사용할지 알 수 없는 새 장비를 구입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문상환 부산MBC 기술연구팀장은 중앙방송사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방송사의 사정을 토로하면서 “투자 여력이 없는 지역 지상파방송을 위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UHD제작센터나 신기술 활용을 위한 투자·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