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미래를 꿈꾸다

[종합] 방송, 미래를 꿈꾸다

445

11월 7일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와 한국방송협회, 미래방송연구회가 주최하고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와 미래방송연구회가 주관하며 DTV KOREA가 후원하는 [2012 가을 디지털 방송 컨퍼런스]가 서울 목동 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컨퍼런스는 총 2일간 진행되며 8일에도 다양한 섹션 및 토론의 장이 열릴 전망이다.

   
 

7일 컨퍼런스는 최동환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회장의 개회사로 시작되었다. 최 회장은 “방송 기술인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컨퍼런스가 열린 만큼, 오늘 이 자리가 지상파 방송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자리가 되길 염원한다”며 “7일과 8일, 양일간 열리는 이번 컨퍼런스가 지상파 방송의 현재를 냉정하게 평가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더 나아가 “지상파의 미래가 방송 기술인들의 손에 달려있다고 자부하고,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가 평소에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지상파 방송 전체 구성원에 대한 자성을 촉구했다.

 

   
 

이어 KeyNote로 컨퍼런스에 참여한 양문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직접수신율 10%라는 수치는 지상파 방송의 본질적 의미를 훼손시키고 있다”고 꼬집은 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재 지상파 방송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은 부끄러워해야 하며 동시에 경영진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 방안을 강하게 주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년 동안 지상파 방송의 미디어 공공성을 구현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로 인식되는 700MHz 대역 주파수 문제에 대해서도 양 위원은 격한 어조로 “해당 주파수가 모두 통신에 할당된다면 지상파 방송사는 더욱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며 경고했다. 양 위원은 “해당 주파수를 가지고 지상파 방송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정책 로드맵을 구성할 것인지 치열한 고민을 해야 한다”며 “700MHz 대역 주파수가 통신에 넘어가면 미디어 공공성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역전의 기회는 찾아오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마지막으로 양 위원은 “단순한 말은 의미가 없으며, 오직 정책으로 대변되지 않으면 지상파의 미래는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해당 주파수의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지상파 방송사 할당을 위해 치열하게 국회 및 정부와 싸워야 한다”고 열변을 토했다.

 

   
 

이어 ‘스마트 미디어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의를 시작한 김지현 KAIST 경영대학원 교수는 “콘텐츠 생산 및 유통, 소비의 구조에서 일대 혁신이 벌어지고 있다”는 전제 아래 사회는 물론 정치와 경제 등 다양한 일상에 스며든 뉴미디어의 변화를 세세한 분석으로 설명해 호평을 받았다. 특히 김 교수는 방송과 통신, 더 나아가 미디어의 복합적 융합 현상을 진정한 뉴미디어의 미래로 꼽으며 “N-스크린을 넘어 멀티 스크린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렸다.

김병선 KBS 기술연구소 차장은 ‘UHDTV 서비스 현황 및 전망’이라는 주제로 강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 차장은 UHDTV의 용어 정리부터 시작해 HDTV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대비시키며 UHDTV의 현재와 미래를 차분하게 설명했다. 또 해외의 UHDTV의 현황을 예로 들어가며 현재 대한민국의 UHDTV가 걸어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한편, “UHDTV의 미래를 위해 차세대 방송용 주파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상진 SBS 기술기획팀 박사는 ‘차세대 방송기술 현황 3D & UHD 방송’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펼치며 “현재 정부는 뉴미디어 방송의 큰 축을 3D와 UHD로 압축한 상황이다”며 현재 방송사에서 운용 중인 해당 기술 플랫폼을 현실적으로 설명했다. 또한, 3D와 UHD의 워크플로우부터 실제적인 운용 방안까지 자세하게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이상운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교수는 ‘방송 시청형태 변화에 따른 미디어 서비스 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시작하며 TV의 역사와 변화, 그리고 나아가야 할 길을 논리적으로 설명해 관심을 끌었다. 특히 스마트 TV와 해외의 뉴미디어 활용 현황은 물론, 광범위한 ‘뉴미디어의 세부적 정의’를 내린 부분은 그 자체로 커다란 의미가 있다는 평을 받았다. 이에 이 교수는 “양질의 콘텐츠 제작 공급은 물론, 콘텐츠 유통 구조의 다변화와 지상파의 직접수신률 제고야말로 지상파의 미래”라는 제언을 했다.

송해룡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전통적인 라디오는 사라지는가?’라는 주제로 강의를 했다. 그리고 송 교수는 라디오의 위기와 그 실태를 재조명하는 한편, 라디오 매체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역설하며 동시에 디지털 시대를 맞이한 라디오의 부흥을 단언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송 교수는 “올드 미디어는 사장되어야 마땅한 미디어가 아니다”며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라디오의 위상 제고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 강의에 나선 박찬우 DDN 코리아 차장은 ‘미디어 워크플로우 통합을 위한 시스템 구성’이라는 주제로 방송 업계의 시각으로 현재의 방송 제작 시스템을 세부적으로 설명해 참신한 강의라는 평을 받았다.

[2012 가을 디지털 방송 컨퍼런스]는 매년 11월 열리는 학술 행사로서 올해 7회째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방송 기술 이슈를 정리하고 그 미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본 컨퍼런스는 7일과 8일 양일간 서울 목동 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열린다.

 

특히 8일 오후 3시 30분부터 약 2시간동안 진행될 예정인 ‘디지털 전환 긴급진단 토론회-누구를 위한 아날로그 방송 종료인가?’는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2012년 12월 31일로 예정되어 있는 디지털 전환 및 아날로그 방송 종료 정국에서 시청자를 위한 진정한 미디어 공공성의 가치를 논함과 동시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련 정책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논의가 펼쳐질 예정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