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사용료를 둘러싼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의 상생협의체가 구성돼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SO와 PP간 갈등의 핵심 사안을 논의하기 위한 상생협의체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양휘부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은 “그동안 현안별 협의를 위한 협의체 구성은 있었으나 업계 공동발전을 위한 포괄적 협의체 구성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서로의 현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 만큼 협의체를 통해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로그램 사용료를 둘러싼 SO와 PP간 갈등은 하루 이틀 된 문제가 아니지만 최근 종합편성채널이 주요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을 상대로 프로그램 사용료를 요구하면서 그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PP협의회는 “의무편성채널로 규정된 종편이 지상파 채널에 인접한 10번 대의 황금채널 번호를 차지하는 등 파격적인 특혜를 받은 것도 모자라 최근에는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까지 요구하고 있다”며 종편을 상대로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 강요 행위를 중단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SO는 가입자의 수신료 가운데 일부를 프로그램 사용료 형태로 PP들에게 분배하고 있다. 그런데 프로그램 사용료의 총액이 일정한 상황에서 종편이 프로그램 사용료 분배 대상에 포함된다면 시청률 경쟁에서 종편에 밀리는 중소 개별PP들의 수입은 당연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에 PP업계에서는 종편이 프로그램 사용료 분배를 요구할 경우 중소 개별 PP들의 상황이 더 악화돼 심각한 경영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일각에서는 현재 SO가 PP에게 지급하는 프로그램 사용료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프로그램 사용료를 둘러싼 논란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윤석민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유료방송 전문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세미나에 참석해 “현재 SO가 PP에게 지급하는 프로그램 사용료 25%에는 유료채널 사용료 외에도 VOD 사업자에게 지급하는 금액도 포함돼 있어 실질적인 배분율은 20% 수준”이라며 해외에서는 기본 30~35%에 달하는 만큼 공정거래를 위해 프로그램 사용료를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관련 전문가들은 “프로그램 사용료 문제 외에도 여러 방면에서 SO와 PP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황인데 상생협의체를 통해 문제가 해결될지는 의문이지만 그래도 논의의 장이 마련된 것에 또 다른 의미가 있다고 본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편 상생협의체에는 유정석 현대HCN 상무, 김형준 티브로드 상무, 박장우 씨앤엠 전무, 김동수 CMB 상무, 황명수 YTN 국장, 이은우 MBC플러스미디어 이사, 손의준 SBS플러스미디어 국장, 김종선 CJ E&M 본부장 등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