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EBS‧지역민방, 갈라치기‧졸속 임명동의제 비판 ...

SBS‧EBS‧지역민방, 갈라치기‧졸속 임명동의제 비판
“공정방송 위한 임명동의제 포함시킨 방송3법 통과시켜라”

95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와 언론노조 CJB‧G1방송‧JIBS‧JTV‧kbc‧KNN‧TBC‧TJB‧ubc 등 지역 민영방송 지부, 언론노조 EBS 지부 등이 보도 책임자 임명동의제 적용 대상 확대 등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은 7월 7일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3법이 국회 통과를 눈앞에 두고 있지만 당사자 의견을 물어보지 않은 ‘보도 책임자 임명동의제’ 조항이 갑자기 생겨났고, 적용 대상은 KBS‧MBC‧EBS‧YTN‧연합뉴스TV 등 딱 5개 언론사뿐이었다”며 “보도 책임자 임명동의제 대상을 5개 방송사에서 최소한 지상파로 확대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이렇게 방송사 갈라치기 할 바에는 보도 책임자 임명동의제 조항을 완전히 삭제하고 차후 추가 개정안에서 모든 방송사로 임명동의제 확대를 담기 위한 여야, 방송사 노사, 국민이 참여하는 실질적인 공개 토론회를 열어달라”고 했다.

이들은 “보도 책임자 임명동의제 대상인 EBS도 이번 차별적 법안에 고개를 갸우뚱한다”며 “자사보다 뉴스 편성 비중이 몇 배나 더 높은 SBS와 지역 방송사들이 ‘보도 책임자 임명동의제’ 대상에 들어가지 않은 부분을 심각한 문제라고 진단했다”고 지적했다.

언론노조 SBS본부와 지역민방 지부들은 이번 방송3법 문제의 책임을 언론노조 집행부로 돌렸다. 이들은 “일부 언론 노동자들의 권한을 심대하게 침해하는 조항이 졸속으로 들어오는데도 본인들 친정 언론사의 이익을 위해 함구했다”며 “입을 닫고 정치권과 밀실 합의를 한 것도 모자라 항의하는 조합원들을 향해 ‘되돌아가도 똑같이 했을 것’이라는 뻔뻔함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KBS와 MBC 등이 윤석열 정권 하에서 고초를 당하고 방송 독립을 위해 노력한 것은 너무 잘 알고 있다”면서 “그런데 그 방식이 나머지 동지들을 사지로 밀어처넣는 방식은 아니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