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종합유선방송사(MSO) CJ헬로비전이 영서방송의 지분을 인수하며 몸집 불리기에 나섰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인수합병에 따른 대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CJ헬로비전은 지난 17일 영서방송의 지분 68.43%와 영서방송의 지분 31.57%를 보유한 횡성유선방송 지분 100%를 각각 403억9000만 원, 78억1000만 원에 인수키로 결정하면서 영서방송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영서방송은 원주, 횡성, 평창, 영월, 정선을 중심으로 가입자 10만 명을 확보하고 있는 지역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다.
CJ헬로비전은 이번 지분 취득에 대해 “신규 SO 인수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설명한 뒤 미래창조과학부의 최종 변경 승인이 완료되면 CJ헬로비전이 보유한 SO는 총 18개에서 19개, 가입자는 339만 명에서 약 350만 명으로 늘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 CJ헬로비전 뿐만 아니라 티브로드 등 MSO를 중심으로 몸집 불리기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소규모 SO들에 대한 인수합병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IPTV 등 다른 유료방송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인수합병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노사 갈등이 발생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마련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
앞서 지난 5월 22일 원주시 반곡동 영서방송국 앞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 영서방송지부는 ‘영서방송 구조조정 규탄과 고용사수 기자회견’을 갖고 구조조정의 부당함을 강조한 바 있다. CJ헬로비전과 인수합병을 앞둔 사측이 어떠한 경영상의 책임도 지지 않고 직원들의 희생만 강요한다는 것이다.
당시 영서방송노조는 기자회견을 통해 “사측은 고용안정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은 채 노조에서 요구하는 고용안정과 체불임금에 대한 어떠한 교섭에도 응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뒤 “‘무노조 경영’을 고수하고 있는 CJ헬로비전이 인수과정에서 ‘노조 해산’을 조건으로 제시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관련 전문가들은 “업무 중첩에 따른 구조조정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이 부족한 상황에서 그나마 키워낸 사람마저 업계를 떠난다면 손실이 더 크다”면서 “인력감축보다는 재교육을 통한 순환 배치가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