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용어
홈 기술용어
[방송기술용어] 홀로포테이션(Holoportation)
홀로포테이션(Holoportation)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Hololens)와 트랜스포테이션(Transportation)의 합성어로 실객체의 3D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증강현실(AR)을 구현하는 데 있어 정적인 객체를 인식해 깊이감 등을 계산하고 사실적인 3D 이미지를 만드는 기술은 많은 발전을 이뤄왔으나 동적인 객체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방송기술용어] VP9
VP9은 구글이 개발한 비디오 코딩 포맷이다. HD 이상의 고해상도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데이터 사용량도 크게 증가해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자 보다 효율적으로 비디오 파일을 압축하는 기술이 필요해졌다. 이에 구글은 2009년 VP8을 개발한 On2테크놀로지스를 인수해...
[방송기술용어]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 IoST)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 IoST)은 모든 사물인터넷(IoT) 서비스가 빠른 통신 속도를 갖출 필요는 없다는 점에 착안해 소량의 데이터, 저속 처리에 초점을 맞춘 무선 네트워크다. 블루투스, Wi-Fi, Z-wave 등 기존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르게 저전력...
[방송기술용어] 탱고(TANGO)
TANGO(탱고)는 구글이 개발한 기술 플랫폼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가 GPS 같은 외부 신호 없이 컴퓨터 비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 비전은 인공 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주변 물체와 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방송기술용어] 융합현실(Mixed Reality, MR)
융합현실(Mixed Reality, MR)은 현실과 가상의 정보를 융합해 현실 세계를 방영한 가상 세계를 구현하는 것으로 복합현실, 혼합현실이라고도 한다. 증강현실(AR)과 구분 없이 쓰이기도 하는데, 가상 이미지가 실제 공간과 상호 작용하느냐에 따라 두 개념에 차이가 있다....
[방송기술용어] 화이트 스페이스 와이파이(White Space Wi-Fi)
화이트 스페이스 와이파이(White Space Wi-Fi)는 TV 방송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 가운데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 방송용 유휴 주파수 대역(TV White Space)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다. 국내에서는 슈퍼 와이파이(Super Wi-Fi)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기존 Wi-Fi에...
[방송기술용어] 스티칭(Stitching)
스티칭(stitching)은 여러 개의 영상을 이어붙이는 작업을 말한다. 특히 360도 영상에서 이 작업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360도 영상을 만드는 작업 시간 중 대부분 시간이 할애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스티칭할 때...
[방송기술용어] HMD(Head Mounted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는 이름 그대로 머리에 쓰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작은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장치를 머리에 쓰면 눈앞에 있는 화면을 통해 마치 거대한 화면을 보는 듯한 효과를 낸다. HMD의 탄생은 50여 년 전으로 거슬러...
[방송기술용어] 제로 레이팅(Zero Rating)
제로 레이팅은 특정 서비스의 트래픽을 사용자의 데이터 요금에서 계산하지 않거나 다른 서비스보다 저렴하게 계산하는 것이다.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동영상·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 요금을 면제하거나 할인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제로 레이팅이 망 중립성(網中立性, Network Neutrality)...
[방송기술용어] 바이노럴 레코딩(Binaural Recording)
바이노럴 레코딩은 머리 모양을 한 모형의 양쪽 귀에 마이크를 설치한 더미헤드라고 부르는 마이크로 녹음하는 방법이다. 듣는 이를 중심으로 주위 음의 움직임이 필요할 때 효과가 크다. 콘서트장의 여러 가지 잡음이나 차 안의 대화 등...
[방송기술용어]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는 사물 통신(M2M), 사물 인터넷(IoT)과 같이 대역폭이 제한된 통신 환경에 최적화해 개발된 푸시 기술(push technology) 기반의 경량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로, IBM사와 유로테크(Eurotech)가 공동 개발했으며 2014년 국제 민간 표준 기구인 오아시스(OASIS) 표준으로 제정됐다.
MQTT 프로토콜은...
[방송기술용어] 보조 광선(補助 光線, fill light)
보조 광선은 주광선(key light)의 부족한 부분을 비추는 부차적인 조명이다. 주광선(key light), 역광(back light)과 함께 3가지 기본 조명 중의 하나이며 대개는 주광선 반대쪽의 순광이나 측광으로 주광선보다 약간 낮게 비춘다. 이상적인 보조 광선은 노출에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