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용어

기술용어

[방송기술용어] 팬텀 파워(Phantom Power)

팬텀 파워는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콘덴서 마이크에 공급되는 전원을 말한다. 콘덴서 마이크는 미세한 소리까지 잘 받아들여 스튜디오 녹음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DC 전원을 공급해야 작동한다. 전원 공급 시에 별도의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 케이블에...

[방송기술용어] jog(조그)

jog(조그)는 천천히 살살 움직이는 모양새를 뜻하는 영어 단어로, 영상 편집 시에 정지 상태에서 프레임 단위로 앞이나 뒤로 아주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뜻한다. 영상의 정밀한 탐색을 위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편집점을 정확하게...

[방송기술용어] 고정 패턴 노이즈(FPN, Fixed Pattern Noise)

고정 패턴 노이즈(FPN, Fixed Pattern Noise)는 CCD 카메라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검은 상처, 흰 상처 광전변환부의 암전류 불균일, 클릭 펄스의 간섭 등으로 인해 화질을 열화시키는 노이즈를 말한다. 이 중에서 흰 험(Hum)과 검은 험은 제조기술의...

[방송기술용어] 잔향(殘響, reverberation)

잔향은 음원이 진동을 그친 뒤에도 계속 들리는 현상을 말하며 음원이 진동을 멈춘 순간부터 음이 들리지 않게 된 순간까지를 잔향시간이라 한다. 잔향 시간이 길어지면 명료도가 떨어져 메시지 전달을 방해하지만, 잔향은 듣는 사람의 몸을 감싸는...

[방송기술용어] 신호대잡음비 (S/N비, Signal-to-noise ratio)

신호대잡음비는 수신기, 증폭기를 비롯해 일반 전송계에서 취급하는 신호와 잡음의 에너지비를 말한다. 신호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보통 잡음과 공존하는데 그 비율을 나타내는 척도로써 S/N비가 쓰인다. 이론적으로는 수신기나 증폭기의 잡음지수와 들어오는 신호의 크기만으로...

[방송기술용어]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공간 다이버시티는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해 신호 품질을 개선하거나 전송 용량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 장치의 수신기에 2계통의 안테나와 음성 복조 회로를 넣어 전계 강도가 강한 방향의 축력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안테나를 페이딩 상관성이 적은...

[방송기술용어]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전파의 전파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정보를 여러 개의 주파수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각 주파수마다 수신 특성이 다른 성질을 이용해 1개의 신호를 서로 다른 몇 개의 주파수로 보내면...

[방송기술용어]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란 네트워크에 필요로 하는 주요 기능들(L4, 방화벽 등)을 담당하는 고가의 하드웨어 장비를 가상화해 고성능의 범용 서버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 환경의 규모가 커져가고 네트워크 중심의 IT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는 물론...

[방송기술용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는 미국의 차세대 지상파 텔레비전 방식인 고도화 텔레비전(ATV) 방식을 심의하기 위하여 설치된 위원회 또는 규격이다. 1996년 미연방통신위원회(FCC)가 미국디지털방송표준위원회(ATSC)에서 제안한 기술을 디지털 HDTV 방송표준으로 채택하면서 미국의 디지털TV 전송 방식을 통칭하는 용어가 됐다. 현재 미국을...

[방송기술용어] 공시청 설비(Master Antenna Television, MATV)

공시청 설비란 공동 주택에서 각 세대별로 안테나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도 지상파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동 수신 설비를 의미한다. 공시청 설비는 관련법령에 따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방송 시설로 안테나, 신호 증폭기, 케이블 등으로...

[방송기술용어] SDI(Serial Digital Interface)

SDI는 Serial Digital Interface의 약칭으로 직렬 디지털 신호 전송 방식이다.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하는 기술로 10비트의 비압축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직렬화(Serializing)해 75옴 동축케이블(중심 도선의 주위를 절연체로 싸고 그 밖을 구리...

[방송기술용어] 가시광무선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가시광무선통신(VLC)은 인간이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빛(가시광)을 이용해서 무선통신하는 기술이다. 2011년에 IEEE802.15.7로 국제 표준 기술로 확정됐으며 올해 5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LED 조명을 통해 정보 전달이 가능한 VLC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올 하반기에 상용화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