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가대표에 네이버‧업스테이지‧SK텔레콤‧NC‧LG 5개 정예팀 선발

AI 국가대표에 네이버‧업스테이지‧SK텔레콤‧NC‧LG 5개 정예팀 선발

185
출처: 연합뉴스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정예팀으로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을 선정했다고 8월 4일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는 참여 정예팀의 기술력 및 개발경험, 개발목표 우수성, 개발 전략·기술 우수성, 파급효과 및 기여계획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됐다. 과기정통부는 “발표 평가에 참여한 10개 정예팀은 모두 뛰어난 AI 기술력과 혁신적인 AI 모델 개발 전략을 제시했다”며 “치열한 경쟁을 통해 5개 팀으로 압축됐고, 사업비 심의·조정 등 일련의 절차를 거친 후 확정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선정된 5개 정예팀은 모두 수준 높은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증명됐다. 특히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토대)부터의 개발 경험이 있어 소버린 AI를 개발하고자 하는 이번 프로젝트의 본질에 부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오픈소스 개발·확보한 AI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다른 기업 등이 상업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오픈소스 정책을 제시한 점도 높게 평가됐다.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과 다양한 AI 서비스 개발 촉진, 국민들의 AI 접근성 증진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기존의 언어모델을 넘어, 멀티모달 모델, 옴니 모델 등으로 고도화하거나, 혁신적 기술력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을 지향하는 등 확장성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5개팀 모두 데이터 지원을 신청해 △데이터 공동구매 △방송영상데이터 △팀별 데이터 모음(데이터셋) 구축‧가공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정부는 먼저 사전 공모‧협의 등을 통해 확보된 고품질 데이터 제공기관 pool과 각 정예팀이 공통적으로 신청한 데이터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약 100억 원의 데이터 공동구매를 진행하고 이를 가공해 오는 9월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더불어, 각 팀이 자체 AI 모델 개발 전략에 특화된 데이터셋을 구축‧가공할 수 있도록 팀별 28억 원을 추가로 지원하는 한편, 고품질 방송영상 학습용 데이터를 위해서도 200억 원 지원할 예정이다.

인재 분야 지원은 ‘업스테이지 정예팀’만 희망함에 따라 해외 우수 연구자(팀)의 인건비,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연계 지원할 방침이다.

GPU의 경우 정부에게 GPU를 임대해 줄 공급사로 SK텔레콤과 네이버클라우드가 선정됐다. 해당 기업이 포함된 정예팀은 올해 GPU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며 업스테이지, NC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정예팀이 필요한 GPU 지원을 받게 된다.

정부는 이번 발표 평가에서 도출된 평가의견을 반영해 사업비 심의·조정 단계 등을 거쳐 5개 정예팀의 사업 범위, 지원 내역 등을 확정할 계획이며, 그 외 참여팀들에게도 평가 의견을 제공해 향후 각 팀의 발전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르면 8월 초에 5개 정예팀과 협약을 체결한 후 각 정예팀이 희망하는 GPU, 데이터, 인재 사업 지원을 통해 세계적으로 파급력 있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확보 도전에 착수할 계획이며, 올해 말까지 개발·확보한 AI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기반으로 12월 말 1차 단계평가(5→4개팀 압축)를 추진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선정된 5개 정예팀의 실력은 물론, 참여한 모든 정예팀의 열정에 박수와 찬사를 보낸다”며 “본 사업의 담대한 도전은 이제 시작이자 ‘모두의 인공 지능’ 출발점이 될 것이며, 대한민국 AI 기업·기관들의 도약, 소버린 AI 생태계 확장을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