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또다시 구성원 논의 없이 밀실 통합 ...

KBS 또다시 구성원 논의 없이 밀실 통합
KBS 방송기술인협회 “절차 없는 통합, 기술 없는 효율화 위험해”

164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지난해 일방적인 조직개편으로 논란이 일었던 KBS가 또다시 기습적으로 수도권 직할 송신소 통합 송출센터 구축 계획을 추진해 도마 위에 올랐다. KBS 방송기술인협회 등 구성원들은 “협업 조식과 어떤 협의도 없이 비공개적으로 진행됐다”면서 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는 한편 이번 결정은 효율화가 아닌 현장 안전성과 방송 안정성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KBS 방송기술인협회는 10월 28일 성명을 통해 사측이 남산, 소래, 화성 등 수도권 직할 송신소 통합 송출센터 구축 계획을 추진하고 이를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했다고 밝혔다.

문제는 내부 논의 없이 밀실로 추진됐다는 점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방송네트워크‧방송인프라‧제작기술 1,2구역은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 4월 송신소 무인화 소문이 돌 때 강력하게 추진 중단을 요구했는데 당시 사측은 논의만 하는 것일 뿐 결정된 것이 없다 했는데 모두가 잊고 있는 사이 어떠한 의견 수렴도 없이 송신소 무인화를 단숨에 결정해버렸다”고 비판했다.

KBS 방송기술인협회 역시 “이번 이사회 상정 직전까지 노조나 협회 그 어느 쪽에도 설명이 없었고, 회의록조차 비공개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결정을 강행하고 있다”면서 “이는 기술 조직과 현업을 철저히 배제한 채 내부 절차를 우롱하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김승준 KBS 방송기술인협회 회장은 사측이 효율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국가 정책 방향과 맞지 않는 정책 추진은 오히려 더 큰 비용의 낭비를 몰고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AM 송신소 감축이나 폐국 여부는 정책 당국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면서 “정책적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부 행정 논리로만 통합을 강행하다 추후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정책 방향과 상충될 경우 더 큰 혼란과 비효율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방송의 안정성이다. KBS 방송기술인협회는 “올해 조직개편으로 기술본부는 제작과 송출, 운용 기능이 통폐합돼 현장 역량이 심각하게 약화되었는데 연장선에서 송신소 통합이 추진된다면 공영방송 기술 기반의 붕괴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회장은 “현재 송신소 교대 근무 인원은 이미 한계를 넘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인원 감축을 전제로 한 통합은 현장 안전성과 방송 안정성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언론노조 KBS본부 측은 “소래, 화성 송신소는 단순한 중계 거점이 아니라 한민족방송,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3라디오 송출 등 공적 책무 수행을 위한 시설이고, 남산은 수도권 시민을 위해 KBS TV, DMB 매체를 송출하는 핵심 기반시설로 이들의 체계가 유인에서 원격으로 바뀌면 화재나 태풍, 낙뢰로 인한 결함 시 즉각 대응이 불가능해져 전파 중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측의 뜻대로 송신소 무인화가 일반화 된다면 KBS 방송의 안정성은 곤두박질 칠 것”이라며 “방송 사고는 단순한 기술적 사고가 아니라 지상파방송사업자 재허가 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라고 덧붙였다.

한편 언론노조 KBS본부와 KBS 노동조합, KBS 같이(가치) 노조 등 KBS 3대 노조와 KBS 방송기술인협회 등 구성원들은 29일 점심 시간에 피케팅으로 항의의 뜻을 펼쳤다.

김승준 KBS 방송기술인협회 회장은 “지난 조직개편으로 인한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송신소 통합이라니 말도 안 된다”면서 “중계기술과 TV기술 통합해서 편해졌느냐, 보도기술과 라디오기술 합치니 효율이 올랐느냐”고 따져 물었다.

김 회장은 “박민이 실행했던 그 형편없는 조직개편 이제 그 마지막 단추까지 꿰겠다는 것이냐”면서 “방송 매체 정책 방향이 정해지지도 않은 이 시점에, 정책보다 앞서가는 사업이 어떻게 효율화를 가져오겠느냐”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AM 주파수는 재난 시 국가 통신망의 마지막 보루”라며 “지난 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함부로 없애지 못한 것을 이 중요한 자산을 정책 논의 없이 이사회 몇몇의 판단 만으로 통합하겠다는 건 책임 없는 행정이자 위험한 결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