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LG유플러스가 AI 기반 스팸 차단 시스템을 고도화한 결과, 스팸 차단 건수가 5개월 만에 약 1.4배 증가했다고 7월 16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자들이 피해자를 속이기 위해 보내는 ‘미끼 문자’가 점차 교묘해지는 가운데, 맞춤형 AI 필터링이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미끼 문자는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자들이 공공기관이나, 금융사·택배사 등을 사칭해 악성 URL을 누르도록 하거나 가족으로 위장해 송금을 유도하는 문자 메시지다. 최근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등 관심이 높은 사안을 모방해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는 사례도 확인됐다.
범죄자들의 수법이 교묘해지면서 실제 정상 문자와 미끼 문자를 내용만으로 구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데 그렇다고 업체 문자를 차단할 경우 공식 문자까지 차단될 수 있고, 국제 발신을 스팸 처리하면 실제 필요한 연락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AI 기반 대내외 데이터 통합 분석·대응 체계인 고객피해방지 분석 시스템에 미끼 문자를 구별하고,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솔루션을 도입했다.
먼저, LG유플러스는 AI에 누적된 스팸 문자 데이터와 최신 트렌드를 학습시켜 차단해야 할 문구를 상시 업데이트 하고, 동시에 문자를 발신한 번호가 조작됐는지, 해외에서 보낸 것인지 등을 분석해 차단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카드 배송’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문자를 분석했을 때, 발신 번호가 조작돼 있고 해외에서 발송됐다는 점이 파악된다면 스팸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지난 2월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는데, 도입 전인 1월과 비교해 지난 6월 스팸 문자 차단 건수가 약 1.4배 증가했고, 실제 고객의 스팸 문자 수신 신고 건수도 같은 기간 약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CPO, 전무)은 “스팸 문자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어, 고객 보호를 위한 기술적 대응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보안에 가장 진심인 통신사로 나아가기 위해 스팸 차단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