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TBS 해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한 국민감사청구 운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6월 30일 오후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위법적 TBS 출연기관 해제 진상규명 국민감사청구운동 및 TBS 해제 공범 경영진 퇴진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감사청구는 TBS 해체의 위법과 정치적 기획, 그 최종 책임자가 누구인지를 낱낱이 드러내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 “이제라도 모든 책임을 인정하고 시민 앞에 사죄하라”고 경고했다.
TBS는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인 지난 2020년 2월 서울시 출연기관으로 변경돼 서울시 지원을 받아왔다. 하지만 2022년 11월 국민의힘 서울시의원 76명 전원이 공동 발의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 조례안’ 일명 TBS 조례폐지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서울시로부터의 지원이 끊기게 됐다. 해당 조례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었지만 지난해 말 서울시의회에서 TBS에 대한 지원 폐지를 5개월 유예하기로 하면서 5월 31일까지로 연장됐다. 결국 6월부터 서울시의 예산 지원이 끊겼다.
이후 9월에는 서울시 출연기관 지위에서도 해제됐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9월 11일 2024년 3분기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지정 고시를 통해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를 서울시 출연기관에서 지정 해제한다고 밝혔다. 출연기관이란 지방자치단체가 문화·예술·장학·자선 등의 목적을 위해 개별 법령 또는 조례에 따라 설립하고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서울시의 손을 완전 떠나게 된 TBS는 현재 민영화를 위해 삼정KPMG과 계약을 체결, 민간 투자자를 찾고 있으나 상황은 여의치 않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30년 넘게 수도권 교통과 기상정보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 현안을 전하며 시민의 일상과 공공의제를 함께 지켜온 지역 공영방송인 TBS가 일궈온 공적 가치가 해체 위기에 놓여 있다”며 “최근 서울시의회 시정질의에서의 오 시장의 발언은 정치권력이 표적삼은 특정 인물이 불편하다는 이유 하나로 시민의 자산인 공영방송 TBS를 폐허로 만든 폭거였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오 시장은 6월 11일 서울시의회 시정질의에서 TBS와 관련해 김어준 씨가 ‘나 다시 돌아올거야’라고 한 것이 TBS 서울시 지원 중단을 비롯한 폐국 흐름에 불을 지폈다고 주장했다.
이에 TBS 양대노조는 성명을 통해 “서울시가 공영방송 TBS를 해체한 결정적 동기를 시장 본인의 입으로 자백한 순간”이라며 “도대체 어떤 권력이 진행자 한 사람의 ‘복귀 가능성’ 때문에 공영방송 전체를 무너뜨리는가. 오늘 오 시장의 발언은 TBS를 정치적 공포감에 따라 해체했다는 공식적 증거”라고 비판했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위법적 TBS 출연기관 해체에 대한 국민감사청구는 TBS 복원의 출발”이라며 “서울시,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그리고 TBS 경영진이 함께 저지른 공영방송 TBS 해체 전모와 위법성을 밝히고, 책임자들에게 법적, 사회적 책임을 묻는 시작”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