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사회안전망 확대 지원책의 일환으로, 긴급 상황에서 구조가 필요한 사람에 대한 위치 측위의 정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Wi-Fi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 서비스를 9월 25일부터 본격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정부 국정 기조 14대 추진전략 중 하나인 국민안전과 뜻을 같이해, 화재·구급·납치·강간·살인 등 긴급 상황에서 전국의 Wi-Fi 액세스포인트(AP) 데이터베이스(DB) 정보 활용을 통해 긴급구조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기지국을 활용한 위치정보는 긴급구조기관이 빠르게 확보할 수 있으나, 오차범위(150m~수 km)가 커서 긴급 상황에서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위치확인시스템(GPS)을 활용한 위치정보는 기지국 정보보다 정확도가 높으나, 실내 측위가 어렵고 대형건물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 측위가 실패할 수 있어 긴급구조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Wi-Fi를 활용한 위치정보는 오차범위가 약 30~50m로 정확도가 높으며,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방통위가 추진하는 위치정보 활용 플랫폼은 이와 같은 장점이 있는 Wi-Fi 위치 측위 기술을 이용하는 서비스로, 이동통신 3사가 구축한 Wi-Fi AP DB와 방통위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AP DB를 활용해 긴급구조 시 Wi-Fi 위치 측위의 실효성을 높인다.
Wi-Fi 위치 측위 인프라 확보를 위해 방통위는 플랫폼 운영 담당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정부3.0의 핵심가치인 공유와 협력을 기반으로 국민안전처·경찰청 등 국민안전 관련 국가기관 및 SKT·KT·LGU+ 등 이통3사와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왔다.
엄열 방통위 개인정보보호윤리과 과장은 “긴급구조 시 오랜 수색시간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상당하다”며 “위치정보 플랫폼이 골든타임 준수에 기여하는 등 사회안전망으로서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창화 국민안전처 소방장비항공과 과장은 “위험에 빠진 사람의 정확한 위치정보 확인은 보다 신속한 출동과 구조로 이어져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에도 방통위 및 이통사와 협력해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높여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청은 지난해 12월부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국민안전처도 9월 25일 이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돼, 위치정보 플랫폼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개시된다. 방통위는 향후에도 플랫폼 시스템 고도화 및 DB 확대 등을 통해 위치정보 플랫폼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