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선 삼성전자 마스터, ‘무선접속망(RAN)’ 총회 의장으로 선출
김래영 LG전자 책임 연구원, ‘서비스 및 시스템(SA)’ 총회 부의장에 선출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동통신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단체인 세계 주요 통신 표준 개발 국제협력 사업(3GPP)이 한국에서 개최한 ‘3GPP 6G 기술 워크숍과 기술총회’가 3월 10일부터 14일까지 인천에서 진행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3월 17일 밝혔다.
3GPP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전 세계 7개 표준화단체가 공동으로 설립한 이동통신 표준개발기구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차세대이동통신기술(LTE), 5G 이동통신에 이어 2030년경 상용화 예정인 6G 이동통신 기술 표준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이번 3GPP 기술총회에서는 김윤선 삼성전자 마스터가 ‘무선접속망(RAN)’ 총회 의장에, 김래영 LG전자 책임 연구원이 ‘서비스 및 시스템(SA)’ 총회 부의장에 선출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총회별 의장은 1명, 부의장은 3명이며 임기는 2+2년으로 통상 4년을 수행한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가 3GPP 기술총회의 의장에 당선된 것은 최초”라며 “6G 이동통신 표준화의 핵심기간(2025년 6월~2029년 3월)에 총회 의장 및 부의장을 확보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술총회는 산하 세부 작업그룹에서 추진될 표준개발 항목을 결정하는 의결권을 가지며, 의장은 회원사 이견 조율 시 그 방향성을 설정하는 권한을 가진다”며 “이는 우리나라가 6G 이동통신 표준화 작업의 중심에 있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무선접속망(RAN) 기술총회는 통상 3GPP 특허의 70~80% 정도를 점유해 동 총회에 한국인 의장이 선출된 것은 표준 주도권 경쟁에 있어 우리나라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울러 6G 이동통신 표준화 작업을 위한 본격적인 첫발이었던 3GPP 6G 이동통신 연찬회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됐다. 이번 연찬회에서는 6G 이동통신 기술 관련 △AI/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내재화 △소프트웨어 기반 연결망(네트워크) △비용 효율적 시스템 진화 △두루누리(유비쿼터스) 연결 기술 등이 제시됐다.
특히, 국내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내 산업계가 한목소리로 강조한 ▲AI와 6G 이동통신의 결합 ▲에너지 절감 기술 ▲6G 이동통신 단독모드(SA) 구조 등이 6G 이동통신의 핵심 연구 항목에 포함돼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지상망(TN)과 비지상망(NTN) 결합도 6G 이동통신 초기 연구에 포함됐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3GPP 기술총회 의장, 부의장 선출 쾌거는 정부가 국내 산업계·연구계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뤄낸 성과”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2030년 내외로 이어지는 오랜 표준화 기간 동안 국내 산업계가 6G 이동통신 분야 세계 주도권을 가지도록 꾸준히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