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전국 92개 시민사회언론단체가 참여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4월 8일 오후 1시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제는 언론개혁”이라며 “내란세력 척결하고 언론 정상화 투쟁에 나서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윤석열 탄핵은 시민과 헌법, 민주주의의 승리이지만 이제 시작”이라며 “윤석열 정권 3년 동안 헌법적 가치인 언론의 자유는 깊은 상처를 입었다”고 했다.
이들은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방송의 공공성과 공정성을 보장해야 할 공적기관에 극우 인사를 끌어들여 언론통제에 동원하는가 하면 공영방송 이사와 사장 교체를 연이어 강행하며 정치적 독립성과 제작자율성을 파괴했다. 또 공영방송 수신료 분리징수, YTN 공기업 지분 강제매각, TBS 지원조례 폐지 등 공영언론의 공적 재원을 흔들어 공공성과 공정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고 밝혔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내란은 종식되지 않았다”며 “공영언론과 언론기관에서 여전히 준동하는 내란동조세력을 감시하고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의 공영방송, 공영언론 장악과 비판언론 탄압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처벌하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했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국회는 특검과 국정조사를 통해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과 비판언론 탄압의 진상을 규명하고 관련자를 엄벌하라 △국회와 새 정부는 방송3법 개정을 통해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을 완수하라 △국회와 새 정부는 방통위가 방송 공공성과 방송 독립성을 위해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기구 개편을 통해 미디어 공공성 강화의 제도적 기반을 다지라 △국회와 새 정부는 방심위 구조 개편과 기능 조정을 통해 언론통제 수단으로 동원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민주적 공론장과 미디어 생태계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라 등의 내용을 정치권에 요구하며 “미완에 그친 언론개혁의 뼈아픈 과거를 반복하지 말자”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