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MWC 2025에서 글로벌 협력 강화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MWC 2025에서 글로벌 협력 강화
GSMA 신임 사무총장, 스페인 국왕, 폴란드 디지털부 장관 면담

266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MWC 2025에 참석하고 있는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신임 사무총장, 스페인 국왕, 폴란드 디지털부 장관을 만나 우리나라 차세대 통신 분야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을 펼쳤다.

MWC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 GSMA)가 매년 주관하는 국제 박람회로 미국 CES, 독일 IFA와 함께 세계 3대 테크 행사로 꼽힌다. 모바일 및 이동통신 중심의 전시회여서 모바일 올림픽으로 불리곤 했는데 최근에는 모바일을 뛰어넘어 ICT 전반을 다루며 ICT 기업들의 기술 전쟁터가 돼 가고 있다. 올해는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융합하라, 연결하라, 창조하라(Converge. Connect. Create)’를 주제로 개최된다.

먼저, 유 장관은 3월 3일 오전(현지 시간) 비벡 바드리나트(Vivek Badrinath) GSMA 신임 사무총장을 만나 과기정통부와 GSMA간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상호 간 미래 연결망(네트워크) 전략과 전망을 공유하는 등 별도의 면담 시간을 가졌다.

이번 MoU는 전 세계 220여 국의 750개 이상의 회원사로 구성돼 세계 이동통신 산업의 주요 동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GSMA와 통신 분야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 간에 진화된 5세대 이동통신(5G-A), 6세대 이동통신, AI 연결망 응용 등 차세대 통신 분야의 양자 간 협력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과기정통부는 5세대 이동통신의 선도적 경험과 6세대 이동통신 추진에 관한 정책 및 정보를 공유하며, GSMA는 이러한 정보를 최신 추진 전략에 반영하고 한국의 우수사례 홍보 및 문서화 등을 지원한다.

이어서 MWC를 방문한 스페인 국왕 펠리페 6세(King Felipe Ⅵ)를 접견한 유 장관은 대한민국과 스페인 양국 간 과학기술과 디지털 분야의 활발한 협력을 제안했고, 국왕은 디지털 강국인 한국과의 협력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의 차세대 연결망(네트워크) 정책을 소개하며 우리나라의 우수한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알리기도 했다.

오후에는 폴란드 부총리 겸 디지털부 장관인 크쥐쉬토프 가브포브스키(Krzysztof Gawpowski) 장관과 양자 면담을 가졌다. 이번 면담을 통해 양국의 AI 정책과 법, 디지털 정책 공유, 한국의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참여에 따른 공동 연구 추진 등을 논의했다.

유 장관은 “5G-A(진화된 5세대 이동통신), 6세대 이동통신, AI 응용 등 차세대 통신 시장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국제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의 지위를 공고히 하려면 세계적 핵심 상대방과 전략적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 뒤 “과기정통부는 국제 표준이 핵심인 통신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개발, 인력양성, 기반 시설 투자와 함께 적극적인 국제 협력을 통해 우리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