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워크가 업무효율을 증대시킨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스마트워크를 통해 근로 시간 유연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개선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 행정자치부, 고용노동부는 2월 1일 ‘2015 스마트워크 이용현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5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 2,000명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종사자 800명 총 2,8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민간부문에서 2015년 스마트워크 이용률은 14.2%로 2012년 대비 3.8%p 증가했고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워크 유형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은 모바일 오피스(20.1%)며 원격회의(11.2%), 재택근무(9.2%), 스마트워크센터(5.9%) 순이었다.
기업 측면에서 스마트워크는 사무실 운영 및 관리비용 절감(59.5%), 업무시간 단축(54.9%)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개인 측면에서는 출퇴근 시간과 비용 절감(73.2%), 육아와 가사 시간 확보(63.6%)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근로자의 경우 스마트워크가 육아나 가사 시간 확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64.4%)하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60%가 저출산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공공부문 종사자는 대부분 스마트워크센터를 이용(85.8%)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워크센터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출퇴근 시간 절약(71.0%)이 가장 많았으며 거주지형 스마트워크센터를 이용할 경우 사무실 출근 시간 대비 1시간 이상 절감(45.7%)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크센터 근무가 업무 측면에서는 효율성 증대(80.1%), 업무시간 단축(79.5%)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업무 생산성(30% 이상)이 높아졌다고 답한 응답자가 60%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과제도 조사됐다.
민간부문에서는 일하는 시간과 개인 시간의 구분 모호(18.7%), 대면 중심 직장문화(12.5%), 보안 문제(9.3%) 등이 스마트워크 도입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스마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워크 근무방식 개선(16.5%), 인프라 구축(16.4%), 조직문화 개선(14.3%)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공공 스마트워크센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는 조직문화(55.8%), 의사소통의 어려움(35.9%) 등으로 조사됐으며 스마트워크 확대를 위해서는 조직문화 개선(66.6%), 기관장의 의지(64.4%) 등이 먼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정수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살펴보면 스마트워크의 필요성과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민간 기업의 도입은 낮은 편”이라고 지적하면서 “ICT 기술 활용으로 스마트워크 확산을 촉진해 기업의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다각도로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정윤기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스마트워크센터 근무가 업무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입증됐다”며 “공공부문 종사자는 대부분 스마트워크를 알고 있고 이용률도 매년 급격히 증가하는 등 스마트워크가 공공부문의 근무문화로 정착돼가는 단계로 이러한 분위기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돼 근로환경이 선진화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이뤄 국민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영돈 고용부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스마트워크를 통해 출산·육아 부담으로 인한 여성의 경력 단절을 방지할 수 있고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스마트워크는 ‘전환형 시간 선택제’와 함께 근로 시간 유연화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제도며 올해부터는 유연·재택근무를 도입한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일가(家)양득 지원사업’이 신설된 만큼 많은 활용을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