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소외계층 ‘미디어포용’ 종합 계획 발표 ...

방통위, 소외계층 ‘미디어포용’ 종합 계획 발표
미디어 접근성 보장·콘텐츠 제작 지원 강화 등 시행

423
제공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10월 12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미디어포용 종합계획’을 보고하고 오후 발표식 행사를 통해 미디어 소외계층을 위한 포용과 혁신의 정책을 국민과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향후 5년간 ‘미디어 격차 없는 행복한 포용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콘텐츠 제작 지원 강화 △미디어 접근성 보장 △디지털 기술 혁신 △미디어 포용 기반 조성 등이다.

방통위는 장애인단체, 방송사업자 등 관련 단체들이 참석한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 발표식을 10월 12일 오후 2시 광화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고 미디어포용 정책 추진 방향 및 주요 추진과제를 설명했다.

주요 추진 과제를 살펴보면, 우선 미디어 콘텐츠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을 실시간에서 비실시간까지, 지상파에서 일반PP(방송채널사용사업자)까지 확대하고, 장애유형별·학년별 맞춤형 교육콘텐츠 제작도 확대한다. 또, 수도권에 집중된 제작 기반을 전국 10개 시청자미디어센터로 확대해 지역사회의 장애인방송 활성화 및 장애 스타트업을 육성 및 지원한다.

다음으로 포용적 미디어 접근성을 보장한다. 현재 32.3%에 머물러 있는 장애인용 TV 보급률을 2025년까지 50%로 높이고, 장애인 TV 보급 방식을 개선해 선택권 확대한다.

방송사별 화면해설 플랫폼을 하나의 전용 플랫폼으로 구축하며, 자막 크기, 위치 조정, 음성 안내 등 장애인방송의 특화 기능을 유료방송 셋톱에 탑재하는 기술 개발과 사업자를 확대한다.

또한, 디지털 신기술의 포용적 혁신을 위해 일반 스마트TV에 탑재할 장애인 특화 기능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유로운 선택권을 부여한다.

장애인·고령층 등 소외계층이 재난정보를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재난정보 전달 서비스와 완벽한 아바타 자동 수어 및 AI 음성합성 화면해설 방송시스템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기반을 조성한다. 장애인 인식개선 사회 홍보, 국제콘퍼런스 등 대국민 인식을 제고하고, 한국수어방송 의무비율 상향(5%→7%) 및 비실시간 장애인방송 제공 의무화 추진한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8년 9월 디지털 포용국가 전략회의에서 밝힌 ‘국민 단 한 명도 차별받지 않고 함께 잘살아야 합니다,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가 보장돼야 합니다’라는 디지털포용 국정기조를 언급하며, “장애인의 미디어 접근권은 장애인의 당연한 권리이며, 이를 위한 노력은 정부의 의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