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라디오 혁신을 위해서 이를 뒷받침하는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2월 29일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한국언론정보학회가 공동 개최한 ‘라디오 지속가능성과 미래 혁신 성장을 위한 정책 방안 세미나’에서는 미디어 다양성 증진과 음성음향(Aural-Oral)서비스의 확장, 진화를 위해 라디오 혁신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지원하는 진흥기구가 설치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필모 민주당 의원은 “라디오 시대가 끝났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지만, 라디오는 여전히 나와 우리를 연결하는 소통 수단”이라며, “불합리한 규제를 정비한다면 라디오의 새로운 활로 개척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서면 축사를 통해 “지상파 라디오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청취자와 친근하게 소통할 수 있으며, 특히 재난 매체로서도 위상을 강화해나가고 있다”며 “라디오의 공익성 제고 및 라디오 산업의 혁신기반 조성을 위해 방통위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정부도 함께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박성제 한국방송협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라디오 매체력 저하는 과도한 규제와 지원 부재가 그 원인 중 하나”라며 “향후 커넥티드카FM, 스마트폰 라디오 통합 플랫폼 등 혁신 서비스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라디오에 정부의 지속적인 진흥/지원이 함께한다면 그 미래는 희망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의 발제를 맡은 정준희 한양대 겸임교수는 “한국에서 라디오는 ‘계획적으로 고사된 것’으로, 국내 방송 정책은 지나치게 신규 미디어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어 라디오가 주변부 서비스로 취급됐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이어 영국과 한국의 라디오 이용 및 정책에 대한 사례를 비교했다. 정 교수는 “영국은 한국에 비해 라디오 도달률, 이용률이 높고, 이용 장소와 이용 수단도 다양하며, 특정 음악 장르에 특화된 채널 등이 인기를 모으고 있는 등 라디오 산업이 활성화돼 있다”면서 “영국 정부는 라디오를 배제하지 않는 정책과 법제를 통해 라디오 진흥을 지원해왔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디지털 방송 정책에 라디오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 라디오 혁신, 라디오 홍보와 개선을 유도하는 법과 기구를 설치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라디오 이용이 위축됐더라도 잠재적 수요는 사라지지 않고, 스마트폰을 통한 라디오 수신이나 커넥티드 카 등 서비스 활성화 촉진 방향이 살아있다”며 “음성음향 서비스 진흥을 위한 정책 기구 설립과 설립 근거, 기능을 부여하는 법적 체계 개편이 필요하며, 라디오 이용 행태 데이터를 구축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김동준 공공미디어연구소 소장은 라디오 콘텐츠 진흥 기금인 영국 비영리단체 ACF에 대해 언급하며, “이러한 유형의 기금이 국내에도 설치되어 라디오 진흥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안정상 민주당 수석전문위원은 “방송법에서조차 라디오 방송은 극히 소외돼 왔다”며 “TV와 뉴미디어 중심으로만 집중되고 있는 정책환경에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상훈 한국방송협회 부장은 “라디오는 음성 매체로서 TV와는 매체적 특성이 매우 다르므로 TV와 통합돼 있는 규제를 분리 적용해야 한다”면서 “가상 간접광고가 불가한 라디오에게 맞는 라이브리드의 도입 등 과감한 규제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