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 ‘데이터 댐’ 구축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

디지털 뉴딜 ‘데이터 댐’ 구축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AI허브’에서 기업별 일정에 따라 일자리 정보 순차 제공

743

[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정부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뉴딜 사업으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일자리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디지털 뉴딜 사업의 일환인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128개 크라우드소싱 활용기업, 약 2.2만여 개 크라우드소싱 일자리에 대한 정보를 ‘AI허브’에서 10월 13일부터 기업별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은 추경 2,925억 원을 투입해 자연어 처리, 자율주행차 등 10대 분야 150종의 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직접 채용 6천여 명, 크라우드소싱 방식 2.2만여 명 등 총 2.8만여 명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크라우드소싱 일자리는 집이나 이동 중에도 데이터의 수집-정제-가공-품질관리 등 데이터 구축 전 과정에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의 일자리로 경력단절 여성, 장애인, 소년소녀가정, 은퇴자 등 다양한 인력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인력은 AI허브에 접속한 후 ‘크라우드소싱 기반 인공지능 데이터 가공 일자리정보’ 팝업을 누르면, 전체 크라우드소싱 기업의 홈페이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개별 기업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다양한 크라우드소싱 일자리 중 희망하는 일자리를 선택해 참여할 수 있다.

AI 데이터 가공 일자리는 비교적 간단한 데이터 수집업무에서부터 정교한 가공작업이 필요한 중간 단계, 데이터 품질검수 등 고급단계 등의 다양한 난이도의 일자리로 구성eho 있으며, 업무 숙련도가 올라갈수록 난이도가 높은 작업을 배정받게 된다.

또한, 외국어 번역 업무, 영양사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작업의 경우에는 영어 점수, 자격증 등의 참여 조건을 제출·확인 후에 참여가 가능하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 ‘데이터 댐’의 핵심인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에 참여하는 크라우드워커는 AI 시대의 핵심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면서, “크라우드워커가 AI 시대의 전문인력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