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네이버는 메인화면의 뉴스 제공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의지로 뉴스캐스트 서비스를 실시했다. 배경에는 포털의 여론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뉴스편집 기능과 의제설정 중립성, 자극적인 연성뉴스 증가, 선거보도 노출 논란 등이 자리하고 있다. 논란을 불식시키고 객관적 뉴스를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네이버는 메인뉴스 선택권을 언론사 선정 방식으로 전환했다. 그 결과 현재 종합 일간지 11개, 지역지 16개, 방송·통신 9개, 인터넷 신문 6개 등 총 89개사가 뉴스캐스트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캐스트 실시 2년이 지나면서, 성공과 실패에 대한 논란이 많다. 몇 가지 변화상을 진단하면 먼저, 성과적인 측면이 눈에 띈다. 첫째, 언론사 사이트 아웃 링크(out link: 뉴스캐스트에서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하는 방식)로 인해 언론사들의 조회 수가 증가했다. 일부 언론사는 폭증하는 조회로 웹 서버를 증설하기도 했다는 말이 들릴 정도다. 이는 언론사의 인터넷사업 수익 개선에 일정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둘째, 포털은 뉴스의 유포와 전달을 책임지고, 언론사는 의제설정과 편집권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역할 분담을 했다. 이는 포털의 위상과 뉴스의 전문성 부족이란 비판을 어느 정도 수용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역시 신문법 상의 “인터넷 뉴스서비스사업자”로 구분됨에 따라 언론중재 대상이 된 만큼 책임 있는 매체가 되려는 조치이기도 하다.
하지만 성과 이면의 부작용도 제기되고 있다. 첫째, 아웃링크 증가가 언론사 사이트 조회 수는 늘렸지만, 역으로 조회 수 증가를 위해 일부 언론사에서 선정적·자극적 연성기사와 사진을 우선 배치하는 문제가 드러났다. 포털은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과 어린이들도 매일 수차례씩 방문하는 곳인데 일부 기사와 사진은 보기 민망할 정도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e옴부즈맨제도(2011년부터 네이버 서비스 자문위원회로 통합)를 실시하고 있지만 예방하고 막기란 역부족이다.
지난 1월 신고된 건만 해도 1224건이며 이중 불건전성의 이용자 항의가 138건, 포괄적 항의는 18건이다.
그리고 신고되지 않은 선정 사진과 보도를 합치면 숫자는 더 늘어난다. 네이버는 연성기사 비중 제한, 제재 등을 고려하지만 편집권의 옥상옥(屋上屋)이란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둘째, 뉴스캐스트가 자칫 인터넷 여론의 다양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지역지를 제외하고 뉴스캐스트 선정에서 주류 여론이 담지 못하는 대안미디어의 소리는 제한적이다. 여성과 장애우, 노인, 환경, 노동, 농어민 등은 공정사회를 위한 사회통합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그런데 뉴스캐스트는 주류 언론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한 계층의 목소리는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 이외에 뉴스캐스트 언론사 선정과 재제조치 가이드라인 등도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가장 먼저 지적할 것은 언론사들의 자기반성이다. 조회 수를 올리기 위해 연성기사 우선배치는 분명히 비난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내부 검증 도입과 시민단체의 모니터링 강화로 언론사의 사적 이익 추구를 감시해야 할 것이다. 또 뉴스캐스트의 문제 해결 노력도 필요하다.
뉴스캐스트는 네이버가 시민사회와 언론단체, 정치권에서 제기된 고민은 해결했지만 또 다른 문젯거리를 만들었다. 그렇다면 지금은 뉴스캐스트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고민해야할 시기라고 본다. 원칙은 사용자인 네티즌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돼야 한다. 그럼 기술적인 대안보다는 근본 처방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요컨대, 뉴스서비스를 팩트만을 전달하는 보도 기사와 분석·심층기사로 구분하는 것을 고려해 보는 것도 방안의 하나일 것이다. 일종의 야후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팩트를 제공하는 보도기사를 메인 화면에 집중 배치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시각의 각 언론사 심층·분석기사를 세부화면에 배치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방식도 네티즌의 정보접근성을 향상시킨다는 원칙은 지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