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재난방송은 ‘딱 5초?’

기상재난방송은 ‘딱 5초?’

896

16일 오후 2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에서 공공미디어연구소 주최로 열린 ‘공영방송 다채널 서비스와 직접수신 확대 병행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 참석한 참가자들은 ‘재난방송’ 등의 공적 책무를 위해서라도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를 하루 빨리 시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KBS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 ‘기상재난채널’ 실험 방송을 실시한 바 있다. 북제주 앞바다 지역에 별도로 제작된 100대의 수신기를 통해 기존 9번 채널로 1개의 HD채널(KBS1TV)과 3개의 SD급 채널(드라마, 다큐, 기상재난채널)을 제공한 것이다.

반응은 생각보다 뜨거웠다. 그동안 TV 일기예보에서 딱 5초만 들을 수 있었던 해상정보를 24시간 실시간 방송으로 접하게 됨으로써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서장원 기상청 해양기상과 과장은 “현재 우리나라 인구 27%는 연안과 도서지방에 살고 있고,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98%는 해상 운송”이라고 설명한 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바다와 관련된 정보는 딱 5초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다보니 해상 기상정보에 대한 어민들의 만족도가 90% 이상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서 과장은 “이번 코리아뷰 실험방송으로 24시간 실시간 기상자료를 전달받은 어민들이 충분한 만족을 표하고 있다”며 전국으로 확대된다면 분명 국민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인규 KBS 사장도 “코리아뷰를 통해 전달되는 기상정보는 경제적 약자에 대한 배려일 뿐 아니라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과도 직결된다”면서 “5월이면 제주 전역에 기상재난채널 서비스가 가능해지는데 이렇게 되면 제주지역 어선 6,000척이 정확한 기상정보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BS는 지난 실험 방송을 바탕으로 이르면 오는 5월부터 EBS와 함께 제주도 전역을 대상으로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시범방송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의 사회를 맡은 양문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재난방송은 공영방송의 책무인데 이런 것이 ‘5초 방송’이라면 (현재 우리나라 방송은) 후진적 방송이라고 생각한다”며 “현재 상황을 봤을 때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를 무료 보편적 서비스로 도입하는 것이 맞다”고 공감을 표했다.

조석준 기상청장도 동의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기상에 관련한 기술력으로는 세계 7위권인데 정보 전달 기술 측면이 취약했었다. 이제 KBS의 도움으로 제주도에서 기상재난채널이 시범방송 되고 확대된다면 190만 어민들에게 친서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기상이나 해양정보는 어민들에게 있어 생업에서 나아가 생존차원의 정보로 중요하다”며 그런 의미에서 KBS의 기상재난채널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을 생각한다면 다채널 서비스 도입해야”

한편 이날 토론회에선 디지털 전환과 동시에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김인규 KBS 사장은 축사를 통해 “‘코리아뷰’와 같은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는 (디지털 전환과 함께) 전 세계적인 대세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디지털 전환 9개월을 앞두고도 코리아뷰에 대한 명확한 정책결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면서 “손 놓고 기다릴 수 없어서 KBS가 먼저 발벗고 나서 서비스 시행에 철저히 대행하고자 한다” 전했다.

박선규 코리아뷰 추진단장은 “2006년 MMS 시범 서비스 당시 케이블 사업자들의 반대가 극심했다. 현재 방통위는 케이블 사업자들의 반대가 극심하기 때문에 (코리아뷰를) 찬성해 줄 수도 없고, 반대하자니 전 세계에서 유일한 디지털 후진국으로 남을 것 같아서 ‘유보적’ 입장을 취하는 것 같다”며 “그래서 케이블 사업자 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상재난채널로 코리아뷰 실험방송을 실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런 공익적 서비스가 코리아뷰에 들어간다면 케이블에서도 가입자 이탈이 적을 것”이라며 “방통위가 재난 채널, EBS 수능 채널 등의 필요성을 감안해 적절한 조치를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광범 EBS 뉴미디어기획부 부장도 “다채널 서비스를 하지 않으면서 디지털 전환을 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지금도 DTV 코리아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지상파에서 여러 채널을 제공한다면 비싼 돈 내가면서 유료방송 보지 않고 직접수신 하겠다’는 의견이 많다”며 “최소한 국가적 위신을 세우려면 본격적인 다채널 서비스가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양문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현재 방통위는 (케이블뿐만 아니라) 종합편성채널 때문에 다채널 서비스를 막고 있다. 종편 시청률 반토막 날까봐 우려하는 일부 형님들이 있다”며 “(다른 여당 측 위원들이 어떻게 생각하던) 모든 정책의 잣대는 국민이 되어야 하고, 국민을 중심에 놓고 바라봤을 때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는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