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야 의원들이 가입자 유심 정보 유출로 논란이 일고 있는 SK텔레콤을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국회 과방위는 4월 30일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를 개최했다. 과방위 여야 의원들은 이날 증인으로 참석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를 향해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 “늑장 신고”, “유심 부족”, “통신사 이동 고객 위약금 면제” 등의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SK텔레콤은 4월 19일 오후 11시경 악성코드로 인해 고객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의심돼 관계 당국에 피해 사실을 신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이후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는 25일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를 열고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 숙인 뒤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요청과 유심 무료 교체 등 추가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SK텔레콤은 28일 오전 10시부터 유심 교체에 돌입했지만 현장 혼잡은 물론이고 고객 쏠림을 우려해 시행한 예약 시스템도 대기 상태로 이어지면서 고객 불편은 계속됐다. 심지어 유심 물량 부족으로 유심 교체를 기다리는 고객들은 기약 없이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과방위원들은 유심 교체 물량 부족과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안내가 부실하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나아가 통신사 이동을 원하는 고객들의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요구가 쏟아졌다.
실제로 SK텔레콤은 해킹 사태 이후 홈페이지 공지만 띄웠을 뿐 고객들에게 안내 메시지를 보내진 않았다. 언론을 통해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접하지 못한 고객들은 어떤 서비스에 가입해 보호를 받아야 하는지, 유심 교체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는 상황이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24일까지만 해도 SK텔레콤 실무자들이 유심 교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의원실에 보고한 바 있는데 이후 갑자기 유심 교체를 발표했다”며 “SK텔레콤이 처음부터 사안을 너무 안일하게 바라본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같은 당 박정훈 의원 역시 “이번 사건은 통신사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라고 비판한 뒤 SK텔레콤이 ‘유심보호서비스를 가입하신 분들에 대해 100% 책임진다’라는 문구로 안내한 것을 두고 “고객에 대한 협박같이 들린다. 어떻게 가입 독려로 듣겠나”라고 지적했다. 또한 박 의원은 SK텔레콤의 늑장 신고에 대해 질의했는데 이에 유 CEO는 “절차상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유심 물량 문제를 언급했다. 이 의원은 “유심보호서비스는 해외로밍이 문제고, 유심 교체는 물량 부족이 문제”라며 “결국 번호 이동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통신사와 고객이 계약을 맺을 때 사업자도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할 의무가 있는데, 이번 사태는 완벽한 사업자의 귀책”이라며 “번호 이동 고객에게 위약금을 받기는커녕 피해 보상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위약금 폐지를 주장했다. 이 의원은 “해킹 사태의 파장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SK텔레콤의 대응이 미흡하고, SK텔레콤에 대한 신뢰가 깨졌기 때문”이라며 “불안해하는 가입자들이 번호를 이동할 수 있게 위약금을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약금 폐지 주장에 유 대표이사는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한 뒤 유심 교체 물량이 부족한 만큼 우선 유심보호서비스를 유심 교체와 버금가게 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자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유심보호서비스가 그렇게 완벽하다면 최태원 회장을 포함한 사장단은 유심을 교체하면 안 된다”면서 최 회장을 포함한 SK그룹 사장·부사장단 유심 교체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