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재난방송을 준비해야 한다

[문보경 칼럼] 우리도 재난방송을 준비해야 한다

800

이웃나라 일본에서 일어난 대지진은 우리에게도 몇 가지 교훈을 안겨줬다. 그 첫째가 재해를 대하는 미디어의 자세와 역할이다. 국민에게 피해현황과 대피 요령을 알려야 한다는 점에서 미디어는 그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본에 주재한 어느 특파원은 현장을 취재해 알려야 한다는 사명에 불안에 떨고 있는 가족들에게 차마 달려가지 못했다는 보도도 접한 바 있다. 그는 그만큼 어깨가 무거웠을 것이다. 재해를 피할 수는 없지만 피해를 줄일수는 있다. 또한 아픔을 나눌 수도 있다. 이것이 바로 미디어의 역할이다. NHK를 비롯한 일본 재난방송은 신속하면서도 차분하게 방재 기능에 충실한 재난보도를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재난 방송은 재난을 이겨내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다.
하지만 한국의 미디어는 그렇지 않았다. 당장 일본의 대지진 보도에서도 자국 이기주의와 선정성으로 얼룩진 모습을 보였다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지진 보도 뿐 아니라 국내 재난 상황에 대한 보도는 대부분 피해자들이 오열하는 모습을 주로 담는 등 지나치게 선정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지진 이후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한 대학교수는 그동안 재난 방송을 실례를 들어 지적했다. 천안함사건에서는 전몰 군인의 시신 일부를 노출하기도 했으며 삼풍백화점 사고에서는 상처와 혈흔을 그대로 방영했다. 인권침해 사례도 빈번하게 이뤄졌을 뿐만 아니라 피해자 개인의 신상문제를 지나칠 정도로 자세히 보도했다. 반면 NHK는 자사의 사무실이 흔들리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부터 지진해일 피해 지역 주민들의 질서정연한 모습을 방영해 재난 상황과 재건 의지를 보도하려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오래전부터 만들어온 재난방송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끊임없이 재난이 일어나고 있는 만큼 우리도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난 방송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의원들이 재난방송 시스템의 열악함을 지적할 정도로 한국의 인프라는 취약한 수준이다. KBS에 따르면 재난이 일어났을 때 현장으로 파견할 수 있는 비상헬기는 1대가 있다. NHK에는 10여대가 있다. 또 현장을 중계할 수 있는 CCTV 역시 NHK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다.
학계에서는 NHK가 예산의 3%에 달하는 3천억원 정도를 재난방송에 투입하고 있으며 10명 내외의 조직이 365일 재난방송 분야를 전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비해 KBS 등 국내 방송사들은 전담조직이나 인력이 없었고 예산 역시 일본과 비교할 수 없이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는 비단 방송사나 언론사의 문제가 아니다. 미디어 자체적으로도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주관방송사인 KBS와 다른 여러 방송의 경우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법 시행령을 통해 ‘재난방송 실시에 관한 기준’을 설정해 KBS를 재난방송 주관방송사로 지정해 놓고 있다. 이에 따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이번 대지진을 통해 이동방송의 중요성도 깨달았다. 지진과 쓰나미에 대한 재난방송은 NHK 방송망을 통해 일본 전역으로 송출됐고 일본인들은 TV와 이동방송기기를 통해 이를 수신했다. 특히, 휴대폰으로 원세그(일본방식의 디지털이동방송)를 수신하면서 TV가 없는 곳에서도 재난방송을 시청했다.
이동방송의 경우 TV와 달리 주변 재난 위험을 즉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재난 방송에는 더욱 유용하다.
한국에는 이미 DMB라는 뛰어난 도구가 있다. 지상파 DMB는 이미 단말 보급대수만 4000만대에 달한다.
KBS와 소방방재청은 지상파 DMB를 통해 모바일 재난경보 데이터 방송을 시작하기 위한 협약을 맺기도 했다. 데이터 방송은 재난발령시 실시간으로 전용회선을 통해 KBS에 전달하면 KBS는 무인 자동송출 시스템에 따라 자막이나 음성, 알람, 진동과 같은 여러 형태로 재난을 알리는 역활을 하게된다.
또한 정부는 DMB를 활용한 재난방송기술 개발을 추진하기도 했다. 터널이나 지하공간에서 재난이 발생할 당시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터널용 DMB 재난방송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해외에서 먼저 도입되기도 했다.
문제는 이 같은 단말 보급 상황과 기술을 충분히 활용할 만한 인프라가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작 필요한 곳에서는 중계기가 없어 DMB를 수신할 수 없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재난을 피할 수는 없어도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재난 방송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준비를 해야 한다. 일본 지진은 이웃나라에서 일어난 일이지만 우리나라도 재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